python 가상환경 만들고 들어가고 빠져나가는 법, 쉽게 생각하자, 맥/리눅스 기준

Python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가상환경이 필요할 경우가 있습니다. 어쩌면 가상환경이 필수 일 수도 있습니다. 특별히 단일 프로젝트가 아니라, 스터디의 경우는 더더욱 모듈간의 얽힘이 생기기 않도록.. 무슨 양자컴퓨터도 아니고.. 가상 환경으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가상 환경 생성, 진입(활성화), 비활성화, 삭제를 알아보겠습니다. Mac Linux 동일합니다.

가상 환경 생성

터미널에서 원하는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python3 -m venv venv

venv 는 가상 환경의 폴더 이름입니다.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python3 -m venv myenv

해당 명령을 실행하면, myenv 폴더가 생성되고, 가상 환경에 대한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상 환경 활성화

위에서 생성한 myenv 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source myenv/bin/activate

가상 환경으로 생성된 폴더의 bin 폴더에 보면 activate라는 2.1kByte정도 되는 환경파일이 있습니다. 해당 파일을 적용합니다.

대략 아래와 같이 생긴 환경설정 파일입니다.

이제 프롬프트 앞쪽에 여러분이 지정한 myenv로 보이면 가상환경에 들어온 겁니다.

가상 환경 비활성화

가상 환경에서 빠져나오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deactivate

프롬프트에 (myenv) 가 사라진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가상 환경 삭제

가상 환경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폴더를 삭제하면 끝입니다.

아래 명령어로 해당 폴더를 삭제합니다.

rm -rf myenv

가상 환경을 삭제하는 것과 코드 삭제는 무관합니다. 가상환경 폴더안에 코드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인데요. 다만, 가상환경 폴더를 만들때는 혼란이 없도록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venv를 사용한다면, 가상환경이라고 명확하게 식별이 가능하기는 합니다.

결론

위에서 언급한 쉘을 아래에 한곳에 모아봤습니다.

python3 -m venv myenv
source myenv/bin/activate
deactivate
rm -rf myenv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