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P가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경쟁사 Claude에서 나온 LLM을 OpenAI도 지원하겠다고 한 것을 보면, MCP의 인기를 실감하게 됩니다. 에코시스템이 이래서 중요한 것입니다.
그 핫한 MCP를 오픈소스의 3D 편집기의 강자인 Blender와 MCP를 이용하여 연동하는 방법을 잠시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아래는 명령 프롬프트만으로 제가 직접 생성한 예제입니다. ‘스키장’ ‘좀 더 사실적으로’ 등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단 몇 분만에 그려냈습니다.

MCP란?
MCP is an open protocol that standardizes how applications provide context to LLMs. Think of MCP like a USB-C port for AI applications. Just as USB-C provides a standardized way to connect your devices to various peripherals and accessories, MCP provides a standardized way to connect AI models to different data sources and tools.
출처: https://docs.anthropic.com/en/docs/agents-and-tools/mcp
MCP는 애플리케이션이 LLM에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을 표준화하는 개방형 프로토콜입니다. MCP는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SB-C 포트와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USB-C가 장치를 다양한 주변기기 및 액세서리에 연결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처럼, MCP는 AI 모델을 다양한 데이터 소스 및 도구에 연결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합니다.
쉬운말로 표현하자면, LLM(인공지능)이 손쉽게 외부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표준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MCP는 Model Context Protocol의 약어입니다. 인공지능(Model)에게 문맥정보(Context)를 제공하는 표준 절차(Protocol)이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문맥정보에는 어떤 것이든 입력될 수 있습니다. 지금 글에서 보는 것과 같이 3D 제작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고, 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 API, 이미지 등등, 상상하는 것은 다 붙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개발자나 전문가가 손수 처리해야할 일을 MCP연결만으로 LLM이 처리하도록 제공한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여기에 무기 시스템이 붙으면 안될텐데요. 왠지 미래에 일어날 것 같아서 우려스럽긴 합니다.
설치 방법
Blender 설치
Blender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면됩니다.
본인의 시스템에 맞는 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맥(인텔,실리콘)/윈도 등등..
Claude 데스크탑 설치
Claude는 데스크탑을 설치해야 합니다. 웹 버전에서는 연동되지 않습니다. 크롬 익스텐션등을 공개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지만, 굳이.. 그리고, Claude외에 본인이 희망하는 아무 MCP Client를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 예를 들면, 개발자는 Cursor 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클로드 데스트탑은 아래 URL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추가로 사용가능한 MCP 클라이언트는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modelcontextprotocol.io/clients
연동 방법
Blender 설정
먼저 블랜더에서 설정을 하겠습니다.
아래 URL에 들어가서, addon.py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github.com/ahujasid/blender-mcp/blob/main/addon.py
블랜더를 실행합니다.
File > Preferences.. 를 선택합니다.

Preferences에서 Add-ons를 선택합니다. 우측 상단의 Install from Disk.. 를 선택합니다.

위쪽에서 다운로드 받은 addon.py 를 선택합니다.
블랜더에서 BlenderMCP 탭이 활성화 된 것을 확인합니다.
Use assets from Poly Haven을 체크합니다. (Poly Haven 서비스에서 assets을 가져와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아래쪽에 Hyper 3D 옵션도 있는데 이는 유료 서비스라 일단 스킵하겠습니다)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이제 Claude Desktop으로 가보겠습니다.
Claude 환경 설정
Claude Desktop 을 실행합니다.
설정에 들어갑니다.

설정중 ‘개발자’ 설정에 들어갑니다.
아래는 이미 설정이 적용된 화면이고, 비어있는 화면이 보인다면, ‘설정 편집’을 선택합니다.

설정 편집을 선택하면, json 파일을 하나 보여줍니다. 해당 json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VSCODE와 같은 툴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 "mcpServers": { "blender": { "command": "uvx", "args": [ "blender-mcp" ] } } }
사용 방법
설치와 설정을 모두 마치셨나요?
먼저, 블랜더에 들어가서, Start MCP Server를 클릭합니다.

그다음 Claude에 들어가면, 프롬프트 입력창 하단에 망치 아이콘이 나옵니다. 이러면, 연동이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원하는 것을 자연어로 입력하면 python 코드가 나오고, 그걸 받아서, Blender가 모델링을 하기 시작합니다.

팁을 드리면, blenderMCP에서 미리 작성한 프롬프트가 같이 제공됩니다. 옆에 있는 콘센트 처럼 생긴 아이콘을 클릭하면, 사전 입력된 힌트 프롬프트가 txt로 첨부가되어 성능이 더 좋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토큰을 더 사용되니 무료로 사용중이시라면, 무료 한도에 금방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모두 무료버전에서 가능한 것이라, 단 몇분이면 쉽게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결론
어떤 사람은 LLM이 동작하는 것으로 보면서, 이게 앞으로 인간을 대처하겠나 싶기는 하겠지만, 기술이라는 것은 시작했다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최초의 자동차로 알려진, ‘1769년 프랑스의 니콜라 퀴뇨가 발명한 세계 최초의 증기자동차’의 속도는 4km/h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지금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AI열풍을 생각할 때, SF영화에서 보는 편리한? 혹은 신기한? 혹은 우려스러운? 일이 안 일어날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유토피아가 되어야 할텐데요. 양심에 근거하고,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법 체계속에서 유토피아가 되면 좋겠습니다. 개인의 힘에 의해서 법이 임의 해석되는 경우는 sf에서 보는 것처럼 ai를 통제하는 독재자가 군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 무기를 이용하여 제국주의를 건설한 것처럼 말이죠. 기술자도 법 체계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말이 조금 옆으로 갔는데요.. MCP는 Blender 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들과 연동되어 응용범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MCP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사이트를 확인해주세요.
https://modelcontextprotocol.io/introduction
여러분도 개발 지식이 있다면, 여러 서비스들을 LLM과 연동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