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개발 완료후 도메인 변경 방법 CloudWays 기준 도메인 변경 추가

이전 포스팅에서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를 추천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워드프레스로 작업을 한후, 대표 도메인으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가 편리한 점이,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개설하면, cloudwaysapps.com의 sub도메인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작업이 다 완료되면, 클릭 몇번으로 사이트를 오픈할 수 있어서, 외부에 공사중 마크를 보여주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사실 공사중일때, 사이트 처리하는 방법이 여러 방법론이 있지만, sub 도메인을 이용한다던지, 로그인 사용자에 따라 보이는 화면을 다르게 한다 던지.. 관리이슈와 온전한 데모의 불가능한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클라우드웨이즈는 도메인 alias를 GUI로 한 곳에서 관리를 하니, 생산성이 up되는 소리가 들리네요!

개요

방법은 다음의 절차를 따릅니다.

  1. 도메인 구매
  2. DNS 레코드 추가/변경 (A)
  3. 메인 도메인 추가 및 설정
  4. 레코드 추가 (CNAME) – 루트 도메인인 경우
  5. SSL 셋팅

1. 도메인 구매

도메인은 여러분이 원하는 곳 어디에서든 구매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도메인 구매처에서 DNS 레코드 관리툴을 제공하는지 확인후 구매하시면 더 좋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가비아의 경우, DNS레코드를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중입니다.

2. DNS 레코드 추가/변경

도메인 구매처가 레코드 관리 툴을 제공한다면 더 없이 좋겠지만, 일부 업체의 경우, 고객센터에 글을 남겨야 하는등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예전에 저만의 주소를 구매해서, DNS레코드 관리툴을 제공해 주는 업체의 DNS로 A레코드를 지정하여, 그 업체에서 레코드를 관리했던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주로 가비아에서 레코드를 직접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서버를 신청했다면, Applications > Application Management -> Access Details 에서 서버 주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 ip 확인방법
클라우드웨이즈 공인 IP확인 화면

도메인 공급업체의 A레코드에, www. @ 를 포인팅하는 ip를 입력해 줍니다. (사진은 가비아 기준)

가비아 DNS관리 화면

3. 메인 도메인 추가 및 설정

A레코드가 서버를 가르키고 있으니, 이제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이름을 받으면 이 웹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바라볼 수 있도록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셋업을 합니다.

Application Management > Domain Management 에 들어갑니다.

[ADD DOMAIN]을 클릭합니다.

희망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약간의 시간이 경과된 후,

도메인이 추가되었다고 DOMAIN LIST에 표시됩니다.

이제 임시로 사용한 도메인이 아닌, 메인 도메인을 메인 도메인으로 만드는 것인데요. 도메인 이름 우측의 추가 메뉴 버튼을 누르면, Make Primary가 나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합니다.

컨펌 창이 뜹니다. DB의 기존 도메인도 주 도메인으로 변경되니 맞냐는 질문입니다. DB까지 싹 바꿔주니 편리합니다.

약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아마도, 가상 호스팅 셋업, DB에서 구 도메인 찾아서, 신 도메인으로 변경하는 작업등을 하겠죠. (사실 이거 수동으로 하면 꽤 신경쓰이는 일입니다.)

새로 입력한 도메인이 주 도메인 Primary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존 도메인은 alias로 변경되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브라우저에 접속하면, 아래 처럼 보안 경고가 뜹니다.

왜냐하면, 기존 SSL 인증서는 새로 추가한 도메인으로 발급 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제 새로운 도메인에 대한 SSL을 발급받아야 됩니다. 이것도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손쉽게 해결 됩니다.

4. 레코드 추가 (CNAME)

SSL을 세팅하기 전에, CNAME을 추가해야 됩니다. 이 경우는 루트 도메인을 추가하려고 할 경우, 해당 도메인의 오너십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만약 wildcard 즉, *.somedomain.dom 과 같이 모든 하위 도메인에 대해서 일괄 SSL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제시하는 CNAME을 DNS레코드에 추가하면 됩니다.

5. SSL세팅

CNAME이 추가되었다면, SSL을 세팅하면 됩니다. 이메일과 도메인 주소를 넣고, 무료로 제공되는 Let’s Encrypt 서비스를 선택하고, [INSTALL CERTIFICATE]를 클릭하면 됩니다.

셋업이 끝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자동으로 리뉴얼이 되는 옵션이 있어서, 한번만 SSL을 세팅하면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SSL 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으므로, 주 도메인의 https 가 정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정리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배웠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손쉽게 도메인을 연결할 수 있다. SSL 포함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도메인 구매 > DNS 레코드 추가/변경 (A) > 메인 도메인 추가 및 설정 > 레코드 추가 (CNAME) – 루트 도메인인 경우 > SSL 셋팅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