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를 사용할 때 워드프레스 시스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데이터입니다. 데이터만 있다면, 언제든 다시 웹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워드프레스를 백업하는 2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목차
워드프레스 백업 개요
먼저, 쉬운 방법으로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예전에도 이것 저것 써봤지만, 최근에 만족하면서 사용하는 플러그인을 소개하겠습니다.
백업 플러그인도 매우 다양합니다.
저는 현재 1개의 플러그인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만족하고 있습니다. 물론 몇년전에는 다른 백업 플러그인을 사용했었습니다. 제가 오늘 추천하는 플러그인도 몇년 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 것은, 해당 플러그인의 지속적인 발전에 달려있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플러그인을 설치하기 애매한 경우에 사용하는 경우로, shell 에 접근하여 백업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본적인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주로, 서비스가 종료된 웹이나, 워드프레스 어드민으로 접속하기 곤란한 경우, ssh를 통해 백업하기 원하는 경우입니다.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첫번째 방법을 권장합니다.
아래 플로우차드를 참고하세요. 백업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에 올리는 것이 최종 목적입니다.
두번째 방법은 이를 완전 수동으로 처리합니다.

플러그인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백업
워드프레스 어드민에 로그인 합니다.
메뉴 좌측의 [플러그인] 메뉴를 클릭합니다.
상단의 [새로 추가] 를 선택합니다.
검색창에서 ‘UpdraftPlus’를 검색합니다.
아래와 같은 아이콘과 이름의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UpdraftPlus WordPress Backup Plugin 입니다.

[지금 설치]를 클릭하여 선택후 [활성화]를 눌러 활성화 합니다.
활성화가 되면, 좌측 메뉴의 [설정]에 하위 메뉴로 UpdraftPlus Backup 이라는 메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설정] 탭에 들어갑니다.
백업 주기 설정
수동으로 되어 있는 백업을, 자동으로 변경합니다.
파일이 자주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면, 파일 백업은 1주일단위로, 2개
글을 매일 쓴다면, 하루 단위로 7개로 설정 합니다. (개인의 워드프레스 사용 패턴에 따라 설정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

이렇게 자동 백업 주기가 설정 되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에 자동으로 올리기
이제 이렇게 자동으로 백업받은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에 올리는 방법입니다.
백업 주기 설정 바로 아래에 보면,
원격 스토리지 선택 이라는 섹션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클릭합니다.

이렇게 우선 클릭하여 선택한 후, 가장 아래쪽의 [변경 사항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다시 강조합니다, 저장을 먼저 눌러야 합니다)
저장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구글 드라이브를 인증하라는 레이어 팝업이 뜹니다.

현재 보유하고 계신 구글 드라이브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접근 권한을 요청합니다. [허용]하시면 됩니다.

인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최종 단계가 나오는데, 여러분의 홈페이로 다시 Call Back 해서 설정을 마무리하는 단계입니다.
아래 [Complete setup]을 누르면 됩니다.

이제 모든 셋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자동으로 백업을 받을 것입니다.
백업 파일은 아래와 같이 구글 드라이브에 폴더가 생성되고 저장이 됩니다.

여러분의 글은 소중하니까, 백업은 꼭 받아놓으세요.
수동으로 워드프레스 백업
다음으로는, 수동으로 백업받는 방법입니다.
수동으로 백업을 받으려면, ssh 를 통해 시스템 콘솔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방법을 시도한다는 것 자체가 linux에 대해서 어느정도 지식이 있다는 가정하에, ssh 접속 방법은 생략하겠습니다.
2종류의 데이터를 받아야 합니다. 먼저는, DB에 있는 내용이고, 두번째는 파일 자체 입니다.
DB백업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내용은 아래와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mysqldump --databases [DB-name] > dump.sql
만약 DB name을 모르겠고, 접속 계정과 패스워드를 모르겠다면, wp-config.php 파일을 열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파일 백업
파일은 web root 상위폴더에 가서, 아래와 같이 tar로 묶습니다. 아래 예시에서 public 은 web root 입니다.
tar -cvpzf public.tar.gz ./public
이렇게 하면, zip으로 압축되고, 파일 권한이 유지된, tar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받은 2종류의 파일을 sftp를 이용하여 PC로 전송한후, drive.google.com 에 접속하여 넣어주는 방식입니다.
매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부득이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결론
워드프레스 데이터는 중요합니다.
플러그인을 이용하는 방법과, 수동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왠만하면, 플러그인을 사용하시고, 부득이한 경우, ssh로 접근하여 백업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